해외통신원 소식

분식에서 미식으로, 베트남에서 새롭게 도약하는 K-푸드
구분
문화
출처
KOFICE
작성일
2025.10.23

분식에서 미식으로, 베트남에서 새롭게 도약하는 K-푸드


K-푸드는 베트남에서 이미 일상적인 외식 메뉴로 자리 잡았다. 김밥, 어묵, 떡볶이 같은 분식류는 현지 어디에서나 쉽게 접할 수 있으며 부담 없이 즐길 수 있는 친근한 대중 음식으로 정착했다. 그러나 최근 몇 년 사이 하노이를 중심으로 한 5성급 호텔에서 한식을 고급화된 형태로 선보이기 시작하면서 새로운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이제 K-푸드는 단순한 한류 열풍의 부산물을 넘어 베트남에서 길거리 음식에서 미식 경험으로 도약하는 과정에 들어섰다. 대중화에 성공한 이후 파인 다이닝과의 접목을 통한 프리미엄화 전략이 본격화되고 있으며 이러한 흐름은 호텔 업계의 식음료 사업과 마케팅 전략 전반에도 뚜렷하게 반영되고 있다.


주요 호텔별 한식 고급화 사례

1) 그랜드 플라자 하노이 호텔 - 온빛(ONVIT) 레스토랑

온빛은 2025년 8월에 문을 연 베트남 최초의 정통 한식 파인 다이닝 레스토랑이다. 전복죽, 오리, 해산물 요리 등 전통적인 메뉴를 기반으로 하되 베트남산 ST25 쌀과 현지 해산물을 접목해 독창적인 코스를 완성했다. 여기에 와인 페어링을 더해 한식을 단순한 식사가 아닌 고급 미식 경험으로 끌어올린 점에서 한식 고급화의 대표적 사례로 평가된다. 이는 베트남에서 한식이 프리미엄 다이닝 영역에 본격 진출했음을 보여주는 상징적 의미를 갖는다.


< 베트남 최초의 정통 한식 파인 다이닝 레스토랑 - 출처: 온빛(ONVIT) 레스토랑 홈페이지 >


2) 인터컨티넨탈 하노이 랜드마크72의 '한국미식주간'

인터컨티넨탈 하노이 랜드마크72는 매년 '한국미식주간(Korean Gastronomy Week)'을 개최하며 한식 고급화 체험을 선도하고 있다. 특히 이 행사는 한국의 미식 문화를 종합적으로 경험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발전하고 있다. 2024년에는 '바다의 향(Taste of the Sea)'를 주제로 해산물과 농수산물을 중심으로 한 메뉴를 선보였다. 음식 제공과 더불어 쿠킹 퍼포먼스, 전통차 세리머니, 한국 술 시음 등 체험형 프로그램을 마련해 한식으로 오감 체험이 가능한 종합적인 문화 프로그램을 제공했다.


올해는 9월 19일부터 27일까지 '한국의 가을 맛(Taste of Korean Autumn)'이라는 주제로 개최됐다. 전어, 갈치, 송이버섯, 단감, 한국 배 등 가을 제철 재료를 불고기, 갈비, 전골, 해산물 요리로 재해석해 선보였다. 디저트 코너에서는 약과와 제철 과일을 제공했고, 막걸리와 안동소주 같은 전통주를 함께 제공해 한국의 미식 문화를 입체적으로 경험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특히 올해 행사에서는 한국의 무형문화재 궁중요리 보유자인 박은혜 셰프가 진행하는 '전통 약과 워크숍'도 열려 참가자들은 전통 한과의 제작 기법부터 문화적 의미까지 직접 배우며 한국 디저트의 우아함과 깊은 맛을 경험할 수 있었다. 이외에도 전통차 체험, 한국 술 마스터 클래스 등 다양한 체험형 프로그램이 포함되면서 베트남에서 주목받는 K-푸드 다이닝 축제로 자리매김했다.


< 2025년 진행된 '한국미식주간' - 출처: 인터컨티넨탈 하노이 랜드마크72 홈페이지 >


3) L7 웨스트 레이크 하노이 바이 롯데호텔

롯데호텔 하노이는 독립적인 한식 파인 다이닝 레스토랑은 아직 없지만 한식 문화 이벤트를 통해 고급화 흐름에 동참하고 있다. 지난 9월 루프탑 바 톱 오브 하노이(Top of Hanoi)에서 열린 '치맥 페스티벌(Korean Fried Chicken & Beer Festival)'은 치킨과 맥주라는 대중적 한국문화를 베트남 고급 호텔의 루프탑 공간에서 즐기는 새로운 경험으로 확장시켰다. 이는 한식이 호텔의 라이프스타일 이벤트로 소비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로 향후 고급 한식 레스토랑으로 발전할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


< 롯데호텔 하노이 루프탑 바의 '치맥 페스티벌' - 출처: 톱 오브 하노이 페이스북 계정(@topofhanoi) >


4) JW 메리어트 하노이

JW 메리어트 하노이는 상시 메뉴를 통해 한식을 일상적으로 경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더 라운지(The Lounge)'에서는 김치찌개, 비빔밥, 불고기 덮밥, 떡볶이, LA갈비 등 다양한 한식 메뉴를 제공하며 조식 뷔페(JW Café)에도 한국식 섹션을 마련해 숙박객들이 매일 아침 한식을 접할 수 있도록 했다. 이는 한식을 특별한 이벤트가 아닌 일상적 고급 메뉴로 자리매김하게 하는 전략으로 글로벌 고객들에게 한식을 친근하면서도 품격 있게 경험하도록 하는 효과를 창출한다. 이러한 접근은 한식의 지속가능한 정착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 '더 라운지' 한식 메뉴 - 출처: JW 메리어트 하노이 홈페이지 >


5) 쉐라톤 하노이 호텔

쉐라톤 하노이 호텔은 뷔페 레스토랑(Oven D'or)에서 비빔밥, 잡채, 김치찌개 등 다양한 한식 메뉴를 제공한다. 전문 파인 다이닝보다는 접근성과 친근함에 중점을 두어 고객들이 부담 없이 한식을 즐길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이는 베트남 현지 고객은 물론 하노이를 찾는 외국인 관광객들에게도 손쉽게 한식을 경험할 기회를 제공해 한식의 저변 확대에 기여하고 있다. 또한 단순히 한식을 상시 제공하는 데 그치지 않고 정기적으로 특별 기획 행사(KOREA FEAST)를 개최하며 한식의 매력을 널리 알리고 있다. 지난 6월에는 '코리안 테이스트 인 더 하트 오브 하노이(Korean Taste in the Heart of Hanoi)'라는 슬로건 아래 '요리마다 담긴 한국의 시(The Poetry of Korea in Every Dish)'를 테마로 한 미식 행사를 열어 전통과 현대가 어우러진 다채로운 한식의 풍미를 선보였다.


< 쉐라톤 하노이 호텔 뷔페 레스토랑의 특별 기획 행사 - 출처: 쉐라톤 하노이 호텔 뷔페 레스토랑 페이스북 계정(@ovendor) >


6) 소피텔 레전드 메트로폴 하노이

하노이의 대표적인 프렌치 헤리티지 호텔인 소피텔 레전드 메트로폴은 2021년과 2022년 '한국미식주간(Korean Gastronomy Week)'을 통해 전통 한식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특별한 미식 경험을 선보였다. 행사는 사찰음식, 흑임자죽, 감 무침, 전통 비빔밥 등 건강 지향적이고 전통적인 한식 메뉴를 현대적인 감각으로 재탄생시켰다. 이는 단순한 음식 체험을 넘어 한식이 글로벌 웰빙 트렌드와 고급 미식 문화 속에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된다. 특히 프렌치 헤리티지 공간에서 진행된 한식 코스는 K-푸드가 글로벌 파인다이닝의 맥락 속에서 충분히 어우러질 수 있음을 입증했다.


< 현지 프렌치 헤리티지 호텔이 선보인 '한국미식주간' - 출처: 소피텔 레전드 메트로폴 하노이 페이스북 계정(@SofitelLegendHanoi) >


베트남에서 K-푸드는 한층 진화하고 있다. 고급 호텔은 뷔페와 라운지를 통한 대중화 전략으로 누구나 부담 없이 한식을 접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동시에 파인다이닝과 미식 행사를 통한 프리미엄화 전략으로 한식을 고급 문화 콘텐츠로 끌어올리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K-푸드는 더 이상 일시적 유행이나 단순한 길거리 음식에 머무르지 않는다. 최근의 변화는 한식이 하노이에서 새로운 전환점을 맞고 있음을 분명히 보여준다. 앞으로 한식은 하노이 현지에서 더욱 깊이 뿌리내리고 나아가 동남아시아를 거점으로 글로벌 무대에서의 영향력을 확대해 나갈 것으로 기대된다.



사진출처 및 참고자료

- 온빛(ONVIT) 레스토랑 홈페이지, https://onvithanoi.com/index.php/vi/fine-dining-han-quoc/


- 인터컨티넨탈 하노이 랜드마크72 홈페이지, https://landmark72.intercontinental.com/vi/tuan-le-am-thuc-han-quoc/


- 톱 오브 하노이 페이스북 계정(@topofhanoi), https://www.facebook.com/topofhanoi


- JW 메리어트 하노이 홈페이지, https://www.thelounge.vn/thuc-don


- 쉐라톤 하노이 호텔 뷔페 레스토랑 페이스북 계정(@ovendor), https://www.facebook.com/ovendor


- 소피텔 레전드 메트로폴 하노이 페이스북 계정(@SofitelLegendHanoi), https://www.facebook.com/SofitelLegendHanoi



성명 : 이지은[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베트남/하노이 통신원]

약력 : YTN world 해외 리포터, 한국어 원어민 교사

0